분류 전체보기 478

공식문서가 출발점이자 중심점이다

개발을 하면서 계속 업데이트 되고 변하는 프레임워크와 툴들을 사용하면서 많은 혼란과 시간낭비를 가졌던 것이 개인적인 불만이었다. 주로 나는 개발을 할때 다른사람들의 블로그를 참조하면서 기능을 구현했고, 그러한 기능들은 한번 쓰이고 버려지거나, 결국 다시 배우고 써야하기 마련이었다. 이렇게 하다가는 모래위에 집짓기라는 생각이 들어 고민을 하다가 문득 생각이 들었다. 왜 나는 공식문서가 잘 정리되어있는데 그걸 가져온 다른사람들의 블로그를 보고있지? 그리고 내가 사용하는 언어와 기술스택의 공식문서를 다 뒤져보았다. 그리고 깨달았다. 공식문서가 결국 출발점이자 중심점이라는걸. https://so-so.dev/etc/official-docs/ 공식문서에서 시작하기 주의 : 공식문서를 읽지 않았다는 Blame 취지..

인터뷰 질문

https://hyonee.tistory.com/136 [네트워크(network)] 면접 예상 질문과 답변 1. 네트워크란? : 물리적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서로 연결된 장치 세트 - 컴퓨터 네트워크는 하드웨어,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와 같은 정보 및 리소스를 통신하고 공유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컴퓨 hyonee.tistory.com https://www.interviewbit.com/networking-interview-questions/#network-type-classification Top Networking Interview Questions (2021) - InterviewBit Get insight on top questions asked in a Computer Networking inter..

HTTP BODY에 이미지,비디오 전송

https://simsimjae.tistory.com/218 GET방식과 POST방식 GET방식과 POST방식? GET방식이란 URL에 key&value 쌍의 형태로 서버에 정보를 전송한다. 그렇기 때문에 HTTP request 헤더에 Content-type이라는 헤더 필드는 필요하지 않다. 바디부분이 비어있다. POST방식이 simsimjae.tistory.com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text/plain multipart/form-data 첫번째 컨텐츠 타입의 HTTP 바디 부분에는 GET방식과 마찬가지로 key&value 형태로 사용자의 입력이 들어가있다. 두번째 컨텐츠 타입의 HTTP 바디 부분에는 단순히 텍스트가 적혀있다. 세번째 컨텐츠 타입의 HTTP 바디..

UDP를 이용한 서비스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A%A9%EC%9E%90_%EB%8D%B0%EC%9D%B4%ED%84%B0%EA%B7%B8%EB%9E%A8_%ED%94%84%EB%A1%9C%ED%86%A0%EC%BD%9C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DP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해서는 UDP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은 인터넷 프로토콜 스위트의 주요 프로토콜 가운데 하나이 ko.wikipedia.org UD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 (DNS), IPTV, 음성 인터넷 프로토콜 (VoIP), TFTP, IP 터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