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1 왜 채팅시스템에서 웹소켓을 구현해야할까?
https://www.slipp.net/wiki/pages/viewpage.action?pageId=30769546
1. 실시간 웹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 - 서영 - SLiPP 스터디 - SLiPP::위키
Clienet에서 Server로 요청을 끊지 않고 필요한 메시지를 계속 보내는 방식 (장점) 메시지를 보내고 다시 연결하는 부담이 적음, 특별한 프로토콜/서버구현 필요 없음 (단점
www.slipp.net
HTTP는 connectionlees 프로토콜이다. 즉,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단방향으로 보내는 통신의 경우 적합하다.
https://victorydntmd.tistory.com/286
[HTTP] HTTP 특성(비연결성, 무상태)과 구성요소 그리고 Restful API
이번 글에서는 HTTP의 가장 큰 특징인 비연결성, 무상태 그리고 HTTP 상태코드(status)와 메서드(method), 헤더(header)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연결성 ( Connectionless ) 비연결성은 클라이언트
victorydntmd.tistory.com
하지만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주고받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모델이다.
따라서 연결을 계속 유지하는 TCP 프로토콜이 적합하여 소켓프로그래밍을 구현해야한다.
이와 유사하게 HTTP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게 웹소켓이다.
https://ratseno.tistory.com/71
[Spring]Springboot + websocket 채팅[1]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게 되면 자주 볼 수 있는 것이 접속한 유저들끼리 채팅을 할 수 있는 채팅창입니다. 이러한 채팅 기능들을 websocket을 통하여 이루어 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ebsocket에
ratseno.tistory.com
선택지에는
1. Netty를 이용한 비동기 클라이언트/서버 소켓프로그래밍
2. Spring Webflux를 이용한 비동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그래밍 구현
https://www.manty.co.kr/bbs/detail/develop?id=69
Spring Boot 와 Netty 의 아슬아슬한 동거
www.manty.co.kr
Spring WebFlux 채팅앱 서버 삽질기
(진행중) 스프링으로 채팅 서버를 만들어야겠다-> 리액티브 스트림을 지원하는 WebFlux라는것이 새로나왔네? 이걸써야겠다-> 인증, REST API 구현-> 채팅 웹소켓 연결 구현할때가 됨-> 웹소켓 + STOMP 공
zeallat.wordpress.com
https://techblog.woowahan.com/2681/
우리도 채팅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item.name}} layout: post title: "우리도 채팅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description: "Netty를 이용한 채팅 서버 구축 경험기" author: allen.song date: 2020-06-19 15:50:00 +0900 categories: experience published: true 이 글에서는
techblog.woowahan.com
이 있다.